삼종외도(三種外道)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,286회 작성일 14-06-04 15:05본문
부처님께서는 당시 인도에서 유행하던 여러 외도의 사상을 세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그 잘못을
비판하였는데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.
숙작인론(宿作因論):인간의 존재는 과거에 행한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견해로서 자이나교가 이
에 해당된다.
존우론(尊祐論):자재신의 자재력에 의해 일체가 전개된다고 하는 전통적인 브라만 사상이다. 즉
신이 존재한다는 상견(常見)에 입각한 견해이다.
무인무연론(無因無緣論):자아와 세계의 나타남에는 논리적 타당성을 갖는 특별한 원인 조건이 없
다고 하는 자이나교와 브라만 이외의 모든 견해로 결합인론(結合因論)과 숙명론(宿命論) 그리고
회의설(懷疑設) 등이 있는데 이 모두 단견에 처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. 이상과 같이 크게
세가지로 구분되는 외도의 설에 대하여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비판하셨다. 첫째 실증성의 여
부로서 숙작인론, 존우론, 무인무연론에는 납득할 수 없는 논리적 비약이 있고 단상(斷常)에 치우
쳐 실증성을 무시하고 있다. 두 번째로 상견(常見)인 숙작인론과 존우론은 존재의 양태를 업에 의
한 것과 신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여기어 인간의 죄악문제가 설명되지 않고 우리 인간에게는 잘 살
려는 의욕과 노력은 있으나 이것도 설명되지 않는다. 이 밖에도 외도의 설은 <사문과경(沙門果經)
> 등의 경전에 "육사외도(六師外道)의 설", "62가지의 잘못된 견해"등으로 나타나 있으며, "10사문
의 무리"를 열거한 경전도 있다. 자이나교의 전적(典籍)에 "4종", "360여 종의 이설"이라는 기술이
있는 것으로 볼 때, 기록에 남겨져 있지 않은 많은 고행자나 수행자가 존재하고 있어서 이들이 제
각기 자기의 생각하는 바를 주장하여 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. 성도 후의 부처님은 시종 이들
사상가의 대부분에 공통되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는 유물론과 무도덕, 무윤리론에 대해서, 그것은
진리에 이르는 길이 아니라는 반론을 펴왔다. 세속에서의 만족스러운 생활을 버리고 생, 노, 병,
사와 같은 인간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온 부처님에게 이들 사상가들의 논
쟁은 한낱 헛된 공론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여졌다. 유명한 "독화살의 비유"는 이 같은 상황
을 명쾌하게 나타내 주고 있다. 즉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는 독이 퍼지기 전에 독화살을 뽑고
치료해야 하는 일인 것처럼 백해무익한 공론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해탈의 길을 걸어야 함
을 비유로써 일깨워 준 것이다.
비판하였는데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.
숙작인론(宿作因論):인간의 존재는 과거에 행한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는 견해로서 자이나교가 이
에 해당된다.
존우론(尊祐論):자재신의 자재력에 의해 일체가 전개된다고 하는 전통적인 브라만 사상이다. 즉
신이 존재한다는 상견(常見)에 입각한 견해이다.
무인무연론(無因無緣論):자아와 세계의 나타남에는 논리적 타당성을 갖는 특별한 원인 조건이 없
다고 하는 자이나교와 브라만 이외의 모든 견해로 결합인론(結合因論)과 숙명론(宿命論) 그리고
회의설(懷疑設) 등이 있는데 이 모두 단견에 처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. 이상과 같이 크게
세가지로 구분되는 외도의 설에 대하여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비판하셨다. 첫째 실증성의 여
부로서 숙작인론, 존우론, 무인무연론에는 납득할 수 없는 논리적 비약이 있고 단상(斷常)에 치우
쳐 실증성을 무시하고 있다. 두 번째로 상견(常見)인 숙작인론과 존우론은 존재의 양태를 업에 의
한 것과 신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여기어 인간의 죄악문제가 설명되지 않고 우리 인간에게는 잘 살
려는 의욕과 노력은 있으나 이것도 설명되지 않는다. 이 밖에도 외도의 설은 <사문과경(沙門果經)
> 등의 경전에 "육사외도(六師外道)의 설", "62가지의 잘못된 견해"등으로 나타나 있으며, "10사문
의 무리"를 열거한 경전도 있다. 자이나교의 전적(典籍)에 "4종", "360여 종의 이설"이라는 기술이
있는 것으로 볼 때, 기록에 남겨져 있지 않은 많은 고행자나 수행자가 존재하고 있어서 이들이 제
각기 자기의 생각하는 바를 주장하여 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. 성도 후의 부처님은 시종 이들
사상가의 대부분에 공통되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는 유물론과 무도덕, 무윤리론에 대해서, 그것은
진리에 이르는 길이 아니라는 반론을 펴왔다. 세속에서의 만족스러운 생활을 버리고 생, 노, 병,
사와 같은 인간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온 부처님에게 이들 사상가들의 논
쟁은 한낱 헛된 공론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여졌다. 유명한 "독화살의 비유"는 이 같은 상황
을 명쾌하게 나타내 주고 있다. 즉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는 독이 퍼지기 전에 독화살을 뽑고
치료해야 하는 일인 것처럼 백해무익한 공론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해탈의 길을 걸어야 함
을 비유로써 일깨워 준 것이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